본문 바로가기

독서

[시] 구부러진 길 / 이준관

 

 

 

구부러진 길

 

나는 구부러진 길이 좋다.

구부러진 길을 가면

나비의 밥그릇 같은 민들레를 만날 수  있고

감자를 심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.

날이 저물면 울타리 너머로 밥 먹으라고 부르는

어머니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.

구부러진 하천에 물고기가 많이 모여살듯이

들꽃도 많이 피고 별도 많이 뜨는 구부러진 길

구부러진 길은 산을 품고 마을을 품고

구불구불 간다.

그 구부러진 길처럼 살아온 사람이 나는 또한 좋다.

반듯한 길 쉽게 살아온 사람보다

흙투성이 감자처럼 울퉁불퉁 살아온 사람의

구불구불 구부러진 삶이 좋다.

구부러진 주름살에 가족을 품고 이웃을 품고 가는

구부러진 길 같은 사람이 좋다.

-이준관-


이준관 :

1949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남

1971년 <서울신문>신춘문예,

1974년 <심상>신인상에 시로 당선.

제 23회 박홍근아동문학상에 아동문학가 이준관(74)시인이 선정

되었다고 주관하는 가톨릭출판사가 밝힘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