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구부러진 길
나는 구부러진 길이 좋다.
구부러진 길을 가면
나비의 밥그릇 같은 민들레를 만날 수 있고
감자를 심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.
날이 저물면 울타리 너머로 밥 먹으라고 부르는
어머니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.
구부러진 하천에 물고기가 많이 모여살듯이
들꽃도 많이 피고 별도 많이 뜨는 구부러진 길
구부러진 길은 산을 품고 마을을 품고
구불구불 간다.
그 구부러진 길처럼 살아온 사람이 나는 또한 좋다.
반듯한 길 쉽게 살아온 사람보다
흙투성이 감자처럼 울퉁불퉁 살아온 사람의
구불구불 구부러진 삶이 좋다.
구부러진 주름살에 가족을 품고 이웃을 품고 가는
구부러진 길 같은 사람이 좋다.
-이준관-
이준관 :
1949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남
1971년 <서울신문>신춘문예,
1974년 <심상>신인상에 시로 당선.
제 23회 박홍근아동문학상에 아동문학가 이준관(74)시인이 선정
되었다고 주관하는 가톨릭출판사가 밝힘.

'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시] 나무1 -지리산에서- / 신경림 (98) | 2024.01.26 |
---|---|
[시] 가지 잘린 떡갈나무 /헤르만 헤세 (109) | 2024.01.19 |
[시] 상한 영혼을 위하여 / 고정희 (32) | 2024.01.05 |
[시] 투쟁이 소용없다고 말하지 말라 / 아서 휴 클러프 (61) | 2023.12.29 |
[시] 12월의 시 / 이해인수녀 (88) | 2023.12.22 |